✅ OSI 7계층
국제 표준화 기구인 ISO(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에서 지정한 것으로 통신을 7단계로 나누고 그것을 표준화한 것이다.
7️⃣ Application Layer (애플리케이션 계층)
6️⃣ Presentation Layer (프레젠테이션 계층)
5️⃣ Session Layer (세션 계층)
4️⃣ Transport Layer (트랜스포트 계층)
3️⃣ Network Layer (네트워크 계층)
2️⃣ Data Link Layer (데이터 링크 계층)
1️⃣ Physical Layer (피지컬 계층)
통신을 단계별로 나누면 데이터 흐름이 한눈에 보인다. 우리가 데이터를 보내기 시작한 애플리케이션 계층에서부터 피지컬 계층까지 데이터가 어디서 어떻게 움직이는가를 볼 수 있게 된다.
두 번째는 문제를 해결하기가 편리하다. 문제가 발생하면 7단계 전부를 고칠 게 아니라 어디서 문제가 발생했는가를 보고 그 단계만 고친다면 문제가 해결된다.
세 번째는 여러 회사 장비를 사용하더라도 네트워크 사용에 문제가 없다. 계층 별로 사용이 나누어졌기 때문에 각 계층마다 다른 장비를 사용해도 괜찮다.
1️⃣ Physical Layer (피지컬 계층)
전기적, 기계적, 기능적 특성을 이용해 통신 케이블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비트 단위로 통신한다. 통신 케이블, 리피터, 허브 등이 피지컬 계층에 속한다.
2️⃣ Data Link Layer (데이터 링크 계층)
피지컬 레이어를 통해 송수신되는 정보의 오류와 흐름을 관리해 정보 전달을 수행할 수 있도록 돕는다. 정보를 재전송하는 기능을 갖고 있으며 맥 어드레스를 가지고 통신할 수 있다. 프레임 단위로 통신한다. 브리지, 스위치 등이 속한다.
3️⃣ Network Layer (네트워크 계층)
데이터를 목적지까지 가장 빠르고 안전하게 전송하는 계층이다. 이를 라우팅이라고 한다. 경로를 선택하고, 주소를 정하고, 경로에 따라 패킷을 전달하는 것이 이 계층의 역할이다. 라우터가 이 계층에 속한다.
4️⃣ Transport Layer (트랜스포트 계층)
플로 컨트롤과 에러 복구 기능이 있다. 에러 복구를 위해 패킷을 재전송하거나 플로를 조절해서 데이터가 정상 전송되게 한다. TCP나 UDP가 이 계층에 해당한다.
그림에서처럼 데이터는 송신 측 애플리케이션 계층에서 피지컬 계층으로 오는 단계마다 헤더 정보가 추가된다. 즉, 데이터 양이 더 커진다. 커진 헤더는 수신 측 피지컬 계층에서 애플리케이션 계층으로 한 단계씩 갈 때마다 줄어들어 결국 데이터를 받는 사용자는 내가 보낸 것과 같이 추가된 헤더 정보 없는 데이터를 받게 된다.➡ 데이터를 전송할 때 사용자가 기대한 속도가 나오지 않는 이유는 이처럼 데이터에 여러 정보가 추가된 상태로 전송되기 때문이기도 하다.
'공부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트워크] 맥 어드레스(MAC Address)란? (0) | 2023.02.09 |
---|---|
[네트워크] 토큰링(Token Ring)이란? (0) | 2023.02.09 |
[네트워크] 이더넷(Ethernet)과 CSMA/CD (0) | 2023.02.09 |
[네트워크] 단극성 신호와 양극성 신호 (0) | 2023.01.05 |